본문 바로가기

세상살이정보혜택

농지연금, 월 100만원 받는 법!! 주택연금과 뭐가 다를까?

반응형

농지연금에 대해 들어보신적 있나요? "평생농사만 짓고 살았는데 내땅에서 연금이 나온다면 얼마나 좋을까" 많은 사람들이 주택연금은 알고 있지만, 농지연금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농지를 소유한 분들이라면, 주택연금처럼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을 받을수 있어 또다른 노후 준비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농지연금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정책으로,일정 조건만 충족하면 매월100만원 이상을 받을수 있으니 꼭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농지연금 월100만원 받는법
농지연금 알아보기

나의 농지연금 금액 조회

한국 농어촌공사에서 주관하는 농지연금은  공식사이트인  농지은행 홈페이지를 통해서 조회해 보실수 있습니다.

 

 

 

농지연금은 만60세이상이고 영농경력이 5년만 되어도 신청할수있고 논,밭뿐만 아니라 과수원도 이용가능하므로 자세한 자격 조건은 우리가 흔히 아는 주택연금과 비교해 보았으니 아래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조회사이트
공식사이트 조회하기

신청자격과 조건(주택연금비교)

구분 농지연금 주택연금
운영기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가입연령 만 60세 이상 만 55세 이상
거주 조건 농지에서 직접 농사를 짓지 않아도 가입 가능 가입 후에도 계속 거주 가능
재산 가액 기준 제한 없음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부부 기준 최대 12억 원까지 가능)

 

농지연금은 만 60세 이상 농업인만 가입할 수 있으며,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이면 가입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주택연금은 공시가격이 9억 원 이하인 주택을 대상으로 하지만, 농지연금은 별도의 자산 평가 기준이 없습니다.

 

연금 지급 방식 비교

두 연금 모두 평생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지급방식 농지연금 주택연금
종신 지급방식 평생 동안 매월 일정 금액 지급 평생동안 매월 일정 금액 지급
기간 지급방식 5년·10년 등 특정 기간 동안 지급 10년·20년 등 특정 기간 동안 지급
혼합 지급방식 초반에 목돈을 받고 이후 연금 지급 가능 초반에 목돈을 받고 이후 연금 지급 가능
유동 지급방식 농지 매각 후 목돈 일시 지급 가능 주택 처분 시 목돈 일시 지급 가능

 

농지연금과 주택연금 모두 가입자가 원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농지연금의 경우 농지를 매각하여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는 옵션이 있으며,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는 개념이므로 주택 처분 시 목돈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그럼 농지연금을 한번 신청해볼까요?

 

농지연금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공식사이트인 농지은행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셔서 나의 연금 예상금액 조회 및 신청까지 간단하게 진행해 보실수 있습니다.지급가능 금액은 개인별,그리고 기타조건별로 다르게 적용되므로 꼭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농지연금 vs 주택연금

농지연금은 농업인이 자신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노후 생활비를 지원받는 제도입니다. 이는 고령화로 인해 소득이 줄어든 농업인의 생활 안정을 돕고,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반면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맡겨 생활비를 지급받는 금융 상품으로, 도시 지역의 고령층이 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두 제도는 기본적으로 보유한 자산(농지 또는 주택)을 활용하여 평생 혹은 일정 기간 동안 연금을 받는 방식이지만, 대상 자산과 운영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장점과 단점 

농지연금은 농사를 짓지 않아도 가입할 수 있으며, 농지를 보유한 상태에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 예정지나 비농지(임야 등)는 가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주택연금은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도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공시가격이 9억 원 이하인 경우에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든든한 노후 보장

농지연금과 주택연금은 차이를 아셨나요? 어느 연금이 더 유리할지 결정하셨나요? 어떤 연금이 더 나에게 적합한지는 개인의 재산 상황과 생활 방식에 따라 다르므로, 충분한 비교와 상담을 통해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부모님이나 주변에 농지를 소유한 분이 있다면 꼭 한번 알아보시길 바라며 주변 지인분들 중에서 해당되시는분이 계시면 권해보세요

 

반응형